본문 바로가기

Diary/philosophy pill

슬아가 슬아 되다, 끝내주는 인생



일간 이슬아를 구독하던 시절이 있었다. 이슬아 인스타그램에서 행보를 지켜보던 시절이었다. 어? 얘 뭐야? 하면서 들여다보게 됐었다. 키치 한 무드로 눈길을 사로잡았던 그였다. 촌스러워서 획기적이었다. 난 획기적인 걸 좋아하니까.

획기적 (劃期的)
어떤 과정이나 분야에서 전혀 새로운 시기를 열어 놓을 만큼 뚜렷이 구분되는 것.


슬아를 한 해 두 해 지켜보다가 특유의 성적 매력을 흘리는 묘한 끼가 읽혀서 살짝 피곤했다. 매일의 글을 보내고 때로 정중하게 마감이 늦어졌음을 알리거나 그 밖의 양해를 구하는 글들이 똑 부러지고 예의를 다한 태도였지만 마음 쓰지 말아 달라는 당부 같아서 마음 두길 멈추었다. 다시 한 해 두 해가 흘렀다. 이젠 내 주변에 슬아를 모르는 사람이 없다.

최근 그의 경향신문 칼럼을 읽고 화들짝 놀랐다. 이게 슬아가 원한 슬아겠구나! 그녀의 글에서 그녀를 둘러싼 관계와 그들 세계가 촘촘히 읽혔다. 두 엄마 밑에서 자랄 아이에게, 란 제목이었고 동성혼이 법제화되지 않은 여기서 레즈비언 부부 규진 세연의 베이비샤워 현장이 묘사됐다. 힘껏 응원하는 이는 팔짱을 끼고 훈수하지 않는다고, 무모하고도 용감한 그를 위해 궁리하고 싶다고, 나는 어떻게 힘을 보탤 것인가! 저 힘의 느낌표가 둥! 하고 내 마음까지 웅장한 징 소리로 울렸다.

이틀 동안 슬아의 끝내주는 인생에 몰입했다. 멋대로 오해하게 두는 제목이군, 생각하면서.

오해하도록 두는 용기는 조건 없는 사랑을 받은 자의 특권이다. 그녀의 어른, 엄마 복희가 복희의 할머니 순남이가 내리사랑을 내린 결과가 오해를 다루는데 능수능란한 용기의 슬아가 되었을 거라고 짐작한다.

더는 슬아의 글 속에 슬아는 주인공이 아니다. 그의 경험 속 인물과 시간이 주인공이다. 경험 너머의 인물도 때로 이름 불려지고 상상으로 쓰인다. 슬아도 한겨레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이번 책은 저를 만든 타인들 이야기이죠. (...) 타인 없이는 한 문장도 못 쓰죠. 저의 자아도 사실 다른 사람들에게서 되 튕겨 나온 것이라고 생각해요. 타인 없인 나도 없어요.”

“제 글쓰기 선생님은 ‘남의 슬픔이 내 슬픔이 될 때 작가의 글쓰기가 확장된다’고 하셨어요. 저는 더해 ‘남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어야 작가의 글쓰기가 확장된다’고 말하고 싶어요. 다른 사람이 울고 웃을 때 같이 울고 웃는 게 작가의 일 같아요.”

작가의 일 같아요,라는 말이 예쁘다. 스스로를 작가라 부른다. 벌써 13권의 책을 냈으니 당연하다. 슬아가 작가가 ‘되는’ 동안 나는, 애니 레보비츠 같은 사진 작가가 되고 ‘싶고’ 숭 같은 영향력의 마케터가 되고 ‘싶고’ 오프라 같은 영성과 지혜의 비즈니스 리더가 되고 ‘싶다’ 안에 머물렀다. 끝내주는 인생.  

반복이 ‘되는’ 방법이구나, 슬아를 보며 안다. 슬아는 사람과 사랑을 반복해 작가가 돼 이렇게 말한다.

모두 좋은 사랑 속에 계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