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알러지 (477) 썸네일형 리스트형 Gray 브래드 피트 Images: Mr Paparazzi/Big Pictures Words: Laura Perks 세월도 비껴갈 줄 알았던 내 사랑 빵 피트군이 회색 빛 수염을 턱에 달고 나타났다. 당장 사랑하재도 서슴없이 ‘콜’ 할 수 있는 오직 하나뿐인 당신, 이지만.... 꽤 급히 늙어버린 모습에 놀란 건 사실. 10살 때부터 짝사랑한 오빠가 마흔이 돼 소금과 후추를 뿌려 논듯 희끗한 머리를 하고서 나타나착잡한 가슴 모르는 척 쓸어내리는... 심정 같은거. 사실 만물이 나고 또 지는 이치에 따라 늙는 것인데 놀랄 일도 아니다. 내 눈가에도 어느새 잔주름이 자글자글한데 그의 회색빛이.. 어쩌면 위로 가 됐을지도. '당신과 나. 우리 함께 늙고 있군요.' 영화 <애자> 에서 울 엄마를 떠올리다 영화 를 보고 새삼 '엄마'가 그리웠다. 그런데 가슴 한쪽에 묵직이 올려뒀던 '엄마'의 그리움은 놀랍게도 채 일주일도 안 돼 차츰차츰 잊히고 있다. "엄마… 뭐해. 영화 같이 볼까?" 하고 넌지시 아양을 떨고자 다짐한 것도 이것저것 하다 보니 짬이 나지 않는다는 핑계로 잠시 묻어 두었다. 이런…. #1. 영화 속 대사 한껏 늦잠을 자고 있는 핸드폰이 계속 울리고 잠결에 발신자를 확인한 애자는 짜증스러운 얼굴로 핸드폰을 집어 든다. 애자 : "쫌 자자!!" 엄마 : "아가… 어매 병원 좀(수화기 너머로 '쿵' 하는 소리가 들린다)." 애자 : "엄마… 엄마." 나 역시 '애자'처럼 휴대전화 액정 화면에 '엄마'라고 뜰 때면 괜스레 부루퉁한 목소리로 "엄마 왜? 나 바빠"라고 말문을 떼기 일쑤다. 엄마는 나.. 부산이 오고있다 2007년 부산에서 부산이 오고있다. 낮에는 영화와 바다에.. 밤에는 소주와 바다에 풍덩 할 수 있는 곳... 파도소리 들으며 잠들수 있는 꿈같은 시간... 달떠 달떠 달떠... 마음도 나이를 먹나요? 스무 살, 그 찬란한 나이를 청춘이라 찬양하여도 그들은 과거의 어떤 하루를 추억하며 살지 모른다. 서른을 갓 넘긴 이는 청춘 즈음을, 마흔 무렵의 누군가는 서른의 어디쯤을 사무치게 그리워할지도... 그렇다면 쉰을 지나 환갑이 된 우리의 심장은 과연 어디쯤에서 두근거리고 있을까. 여기 머리가 하얗게 샌 박선생과 고여사가 소주잔을 기울이고 있다. 두 (마음만은) 젊은 노인은 곧 추억이 되고 말 하룻밤을 위해 기력을 다해 최선을 다한다. 세월 앞에도 지지 않은 두 남녀의 눈치코치가 총 동원된 저녁 나절, 황혼의 로맨스는 이루어질 수 있을까. 아주 오랜만에 세 명의 여고 동창생이 모였다. 셋 모두는 겉으로 보기에 별일 없이 사는 것 같지만 사실은 열정이 증발한 결혼 생활로, 무겁고도 지루한 일상의 반복으로 지칠.. 있을 때 잘하시라! 남자 아닌, 엄마에게 [리뷰] 엄마와 딸의 징글징글한 진짜 이야기 사고뭉치 딸 애자(최강희). 공부는 곧잘 하지만 결석을 밥 먹듯이 한 탓에 대학에도 못갈 판이다. 제아무리 '부산의 톨스토이'라 불릴 만큼 한 '글발' 한다손 치더라도 담배피고 술 마시고 거기다 싸움질까지 하고 다니는 이 불량소녀는 문제아로 찍힌 지 오래다. 성질도 있고 고집도 있어 선생님에게 대들다 맞고, 엄마한테 대들다 쥐어터지기도 일쑤다. 이 막나가는 애자를 다스리는 이가 단 한 명 있으니 바로 엄마 영희다. 그녀 역시 동네에서 억척스럽기로 소문난 여장부로, 그 엄마의 그 딸 '모전녀전'이랄까. 수년이 흐른 뒤, 서울로 상경해 자취생활을 하는 애자는 '진정성'을 담은 작품을 위해 줄담배의 위로를 받으며 글쓰기에 매진한다. 아, 하지만 현실은 '글'만 쓰기.. 장동건보다 장진을 앞세운 <굿모닝프레지던트> 장진의 가 3종의 티저포스터를 공개하며 본격 개봉 홍보에 돌입했다. 영화는 곧 개막할 제14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돼 홍보에 어드밴티지도 얻게 됐다. 슬쩍만 엿보아도 대통령으로 변신한 장동건의 더욱 핸섬한 모습과 장진의 만남이 한껏 기대된다. 티저 포스터 속에는 속 휴그랜트가 연상되는 장동건이 넥타이를 살짝 풀어낸 멋스러운 대통령으로 분해있고, 코믹스러운 포스의 이순재도 호감인데다가 뭔가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있어 보이는 임하룡, 고두심 커플도 은근한 조화를 이룬다. (배우) 얼굴빵을 전면에 내세우는 여느 상업영화 포스터와 큰 차별 점은 없지만 나름 이야기가 충만해 보이는 이미지임엔 틀림없다. 그.런.데. 영화 '포스터'가 선택한 의 중심에는 장동건도 아닌 대통령도 아닌 다름 아닌 감독 장진이 .. 부러운 산책길, 내셔널갤러리 1800년대 초반의 대부분의 미술관에 입장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격식이 있는 복장을 갖추어야만 했고, 관람자격이 충분히 갖추어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간단한 시험을 치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것이 내셔널 갤러리에서는 행해지지 않았다. 오히려 런던의 내셔널 갤러리는 그 시대에 어린이들의 입장을 허락한 세계 최초의 미술관이었다. 이것은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라기보다는 가정에서 아이들을 돌볼 하인을 두지 못하는 시민들의 방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세계미술관기행 ‘내셔널 갤러리’ _ 다니엘라 타라브라 미술관을 놀이터삼아 뛰어놀던 아이들이 눈에 선하다. 그곳에는 잘 갖춰진 낮은 눈높이의 검색용 컴퓨터 시설부터 친절함이 묻어나 있었다. 그건 분명 어린이 입장객을 위한 배려일 테니까. 족히 서너 시간은 넘.. Closing 8월 & 공감 리뷰 영화에 대한 읽을거리가 얼마 없어 서글픈 요즘이지만 (영화 주간지는 씨네21, 무비위크 달랑 두개 뿐) 뒤적이다보면 내 맘을 쏙 담은 글, 복잡한 감상을 깔끔하게 정리정돈 해주는 글들을 종종 만난다. 밑줄만으로는 아까워 되받아 적어 놓기로 했다. 모이고 모여 한권의 노트처럼 되라고. 8월은 가족 극장나들이 겸 를 시작으로 시네마디지털서울2009의 그리고, 단편작은, 등 ... 은 이미 리뷰를 남겼듯 완소작품이고, 어제 본 또한 놀라운 올해의 발견이라 날아갈 듯 기쁘다. (다이어리에 '참신하고 기발하고 야무진 영화 발견!' 이라고 적어 둠.) 는 무엇보다 어린 소년 토머스 터구스 연기가 인상적이었다. #1. 김곡과 김선 감독은 절대 쉬운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이 아니다. 등 제목부터 대중의 접근을 제한한다...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60 다음